IT 정보 꿀팁33 이미지 용량 줄이기 (무료, 빠름, 쉬움) 이미지 용량이 너무 커서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이미지 용량이 클 경우, 온라인 페이지에 업로드가 안 되는 경우도 있어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이미지 용량 줄이는 방법을 알면 여러 가지로 유용합니다. 저도 정말 많이 이용하고 있어요! 이미지 용량 줄이는 프로그램을 공유합니다. TinyPNG(https://tinypng.com/)라는 사이트입니다. 파일 확장자가 WebP, PNG, jPEG라면 이 사이트를 이용해 아주 간편하게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로그인 안 해도 됩니다! 무료입니다! 쉬워요! 빠릅니다! 페이지 상단 중앙에 있는 아이콘(빨간색 화살표 표시 부분)을 클릭해서 파일을 열어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사이트의 아이콘 쪽으.. 2023. 3. 22. 티스토리 페이지 상단 배경 이미지 삭제하기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한편 쓰고 나면, 페이지 상단에 업로드한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 나옵니다. 이렇게 배경 이미지가 보이면 제목이 잘 안보이기도 하고, 산만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1. 티스토리 - html 편집 2. s_permalink_article_rep, style 코드 3. 배경이미지 삭제 코드 입력하기 간단한 방법으로 배경 이미지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1. 티스토리 - html 편집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스킨 편집 메뉴를 클릭합니다. 스킨 편집 화면이 확인되면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블로그 관리 페이지 ➜ 스킨 편집 ➜ html 편집 html 창 안을 마우스로 한번 클릭한 후, Ctrl(Control) + F (맥 OS에서는 Command + .. 2023. 3. 22. 패스트코맷(fastcomet) 호스팅에 다른 도메인 추가 연결하기 패스트코맷(fastcomet) 호스팅 요금제 중 패스트클라우드 호스팅은 단일 웹사이트에만 연결이 가능하지만 패스트클라우드 플러스와, 패스트클라우드 엑스트라 요금제는 여러 웹사이트 연결이 가능합니다. 1. 새로운 도메인 네임서버 설정 2. 패스트코맷 제어판에서 도메인 추가 3. 새로 연결한 도메인 SSL 설치 저는 패스트클라우드 플러스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새로운 웹사이트를 만들게 되어 패스트코맷(fastcomet) 호스팅에 다른 도메인을 추가로 연결해 보았습니다. 1. 새로운 도메인 네임서버 설정 먼저 가비아에서 새로운 도메인을 구매한 후, MY가비아로 들어갑니다. MY가비아 페이지에서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에서 '도메인 *건>'을 클릭합니다. 도메인 중 새로 구매한 도메인을.. 2023. 3. 20.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ing)이 뭔가요? '정말 시대가 변하고 있구나, 다른 세상이 오는구나.'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ing)을 처음 알았을 때 들었던 생각입니다. 생소하기도 하면서 다른 세계가 열렸는데도 '나는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앞으로 수십 년을 더 살아야 할 세상, 뭐라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해 보신 분들, 그리고 데이터 라벨링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제가 알고 있는 것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데이터 라벨링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여전히 아는 사람만 아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고양이'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사람은 고양이를 보면 ‘고양이’라고 인지합니다. 고양이의 뒷모습, 옆모습 등 다양한 각도에서 보더라도 ‘고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요. 하지만 인공지능.. 2023. 3. 16. 구글 서치 콘솔에서 페이지 링크 삭제하기 검색이 잘 되기 위해 구글 서치 콘솔에 페이지 링크를 등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반대로 해당 글을 지워 페이지가 검색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글을 삭제한 후 6개월 정도가 지나면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빠른 시일 내에 해당 글이 검색되지 않게 하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소제목 소제목 소제목 소제목 1.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로그인 ➜ 삭제 메뉴 먼저, 구글 서치 콘솔에 로그인한 후 '삭제' 메뉴로 들어갑니다. '삭제' 메뉴 중에서 '오래된 콘텐츠'를 클릭하세요. 오래된 콘텐츠 메뉴로 들어가면 제출된 요청 옆의 물음표(?)를 클릭하세요. 물음표를 클릭하면 '지난 6개월 동안~'이라는 안내 글귀가 나옵니다. 이 중 파란색 글씨로 활성화 '오래된 콘텐츠 .. 2023. 3. 15. 하위 도메인에 구글 애드센스 연결하기(티스토리, 하위 도메인 정책 개편 반영) 저는 티스토리에 외부 도메인을 등록한 후 애드센스를 받았는데요. 이번에는 하위 도메인에 구글 애드센스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2023년 3월부터 하위 도메인 관련 정책이 개편되면서 절차가 조금 더 간편해졌습니다! 하위 도메인으로 구글 애드센스 등록하기(티스토리) - 2023년 3월, 하위 도메인 정책 개편 반영 - 1. 하위도메인이란? 2. 하위도메인 연결 (가비아 기준) 3. 티스토리에 하위도메인 연결 4. 티스토리 광고 설정 5. 기타 추가 내용 1. 하위도메인이란? 하위도메인은 말 그대로 메인 도메인의 하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https://test.com'이 지금 사용하고 있는 메인 도메인이라면 'https://a.test.com'처럼 test.com 앞.. 2023. 3. 14. 구글 애드센스 ads.txt 파일 문제 해결(워드프레스, 파일질라) ① 파일질라를 이용하여 워드프레스 제작하고, ② 워드프레스로 구글 애드센스 승인 받은 후 애드센스 페이지 상단에 ads.txt 오류가 보인다면 아래 방법으로 해결해 보세요. 오류 메시지 창의 '지금 해결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이트 1개에 사용할 수 있는 ads.txt 만들기'의 ∨을 클릭합니다. 하단의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받으세요. 이제 '파일질라'를 열어 사이트 관리자로 로그인합니다.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사이트의 www 폴더로 업로드해 주세요. 애드센스에 반영되어 오류가 해결되려면 시일이 걸릴 수 있습니다. 최대 한 달이 걸릴 수 있다니 참고해 주세요! ※ 티스토리의 구글 애드센스 ads.txt 오류 문제 해결방법을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2023.03.07 - [I.. 2023. 3. 14. 구글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 입력하기 (개인) 애드센스를 가입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미국 세금 정보를 입력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 말 그대로 제작한 콘텐츠가 미국에 노출되어 애드센스 수익이 있다면 이 중 일부를 세금으로 납부한다는 뜻입니다. 물론, 한국에서 얻는 애드센스 수익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아요. 미국 세금 양식에 정보를 기재하여 제출해 보겠습니다. 1. 애드센스 ▶ 지급 ▶ 결제 정보 2. 미국 세금 정보 ▶ 세금 정보 관리 3. W-8BEN 양식 작성, 조세계약 4. 문서 미리보기 및 증명서 5. 세금 신고 6. 제출 확인 1. 애드센스 ▶ 지급 ▶ 결제 정보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지급 ▶ 결제 정보'로 들어갑니다. 설정 관리를 클릭하세요! 2. 미국 세금 정보 ▶ 세금 정보 관리 결제 프로필을 스크롤로 내리면 '미국 세금 정.. 2023. 3. 11. 다른 계정으로 새로운 티스토리 만들기 기존 카카오 계정으로 가입한 티스토리가 있는데, 다른 계정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혹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만드는데 기존 카카오 계정이 아닌, 아예 새로운 계정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기존 티스토리 블로그가 있고 로그인이 되어 있다면 우측 상단을 클릭한 후 로그아웃합니다. 로그아웃 할 때 '카카오 계정과 함께 로그아웃'을 클릭합니다. 로그아웃했다면 티스토리 페이지의 우측 상단 '시작하기'를 클릭해 주세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만드는데 기존 카카오 계정이 아닌, 아예 새로운 계정으로 티스토리를 만들고 싶은 경우 이 단계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카카오계정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하단의 '회원가입'을 클릭해 주세요. 새로.. 2023. 3. 10. 구글 독스(Google Docs) 사용법 - 온라인 문서 편집, 공유 구글 독스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문서 작성 및 공유 플랫폼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문서를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구글 독스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구글 계정 생성 또는 로그인 2. 새 문서 만들기 3. 문서 편집 4. 문서 공유 5. 문서 저장 1. 구글 계정 생성 또는 로그인 구글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해주세요. 만약 구글 계정이 없다면, 먼저 구글 계정을 만들어 주세요! 계정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google.com/ 사이트로 들어오면 우측 상단에 9개의 점으로 형성된 사각형 형태가 있습니다. 이 사각형을 클릭해 주세요! 구글과 연결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중 'Google 계정'을 클릭해 주세요. 우측 상단 '계정 만들기.. 2023. 3. 9. 이전 1 2 3 4 다음